실거래가를 왜 확인할까요? 부동산 시세를 조작하거나, 허위 신고된 거래나 해지된 계약 정보가 반영된 시세를 그대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매매를 고려하고 있다면 꼭 실거래가를 확인해야 하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아파트 실거래가 조회 방법을 알아볼게요.
1.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은 아파트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형의 부동산의 실제 거래 가격을 확인할 수 있는 공식 사이트입니다. 이 시스템은 최근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되어 더욱 직관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24년부터는 '동' 정보가 추가로 제공되어, 같은 층에서도 더 정확한 가격 분석이 가능해졌습니다.
2. 네이버 부동산 활용
네이버 부동산은 매물의 희망 가격 정보를 제공합니다. 사용자는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서 확인한 평균 매매가와 네이버 부동산에서 제공하는 호가를 비교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비교는 현재 시장에서 적정 가격을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특정 매물의 가격이 너무 높거나 낮은지에 대해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네이버에서는 실거래가를 확인하는 목적보다는 그냥 적정 가격을 판단하는 데만 활용하고 실거래가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에서 확인하시거나 호갱노노에서 확인하시는 게 더 확실합니다.
3. 호갱노노
이제는 모르는 사람이 없을 만큼 아파트 실거래가 조회는 호갱노노에서 하는데요. 호갱노노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와 편리한 기능이 많아서 아파트 주소만 치면 바로 실거래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아파트 실거래가를 조회하는 방법을 알아봤는데요. 실거래가를 조회할 때는 매물의 층수, 방향, 옵션 등 다양한 조건을 고려해서 최종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언급한 변수들에 따라 시세가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