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투자를 오래 했어도 하락장은 항상 쉽지 않고 실수도 많은데요. 하락장을 인지하고 초기에 대처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이 투자 성과를 좌우할 수 있습니다. 주식 하락장에서 어떻게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지에 대한 5가지 일반적인 전략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하락장 인식
하락장은 일반적으로 코스피 지수가 20% 이상 떨어질 때 인식합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고점 대비 15% 이상 하락했거나, 지지선으로 여겼던 지수를 깨고 추가 하락이 예상될 때 하락장이라고 느낍니다. 많은 투자자들은 하락의 막바지에서야 상황을 깨닫고,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경각심을 갖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대비 전략 강조
하락장에 들어가면서 대응하는 것보다 상승장에서의 철저한 대비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다음과 같은 요소를 고려해 보세요.
- 위험 관리: 투자 자산을 다양한 종목에 걸쳐 나누고, 리스크를 최소화합니다.
- 자산 배분: 적절한 비율로 주식과 현금을 배분해 불확실한 시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합니다.
- 레버리지 사용의 위험성: 레버리지를 사용하는 투자는 큰 손실을 초래할 수 있으니 신중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상승장에서 철저한 대비가 이루어진다면 하락장에서 좀 더 쉽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하락장에서 할 수 있는 대응 방법
개인적으로 하락장에서의 가장 좋은 건 주식 비중을 줄이고 현금 비중을 늘리는 건데요. 하락장에서는 대체적으로 바닥을 확인하기 어렵고, 추가 하락이 예상될 때는 매수보다는 관망하면서 현금을 지키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후에 바닥을 확인하거나(물론 이것도 쉽지 않습니다.), 최소한 추세 전환을 확실하게 확인하고 나서 다시 매수하는 겁니다.
종목 선정 및 심리 관리
그럼에도 매수를 해야 한다면 명확한 종목에만 투자하고, 무분별한 매매를 피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확실한 종목 선택: 주도 테마 내에서 상승률이 높은 종목을 선택하도록 합니다. 차트가 정배열인 종목도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 단기 투자 전략: 주식을 짧게 보유하는 것도 좋습니다. 장기 보유는 리스크를 높이고, 특히 하락할 경우 손실을 키울 수 있습니다. 데이 트레이딩 전략과 함께 하루 중 매매 타이밍을 잘 잡는 것이 중요합니다.
- 심리 관리: 손실이 발생했을 때 조급하게 반응하지 않고 침착함을 유지해야 합니다. 하락장은 일시적인 것이라는 마음가짐이 도움 됩니다. 개인적으로는 손실을 만회하고자 하는 의욕이 더 큰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자주 상기하려고 합니다.
정리하자면 하락장에서는 매매를 줄이고 관망하는 것이 바람직한데요. 물론 이 외에도 인버스 ETF나 풋옵션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3대 증시 지수 이해해보자! (다우존스, S&P 500, 나스닥) (0) | 2024.12.13 |
---|---|
ISA 계좌 활용 방법 완벽 가이드! 유형별 장단점 및 세금 혜택 정리 (0) | 2024.12.11 |
[낙수효과 분수효과] 뜻, 비교, 장단점 (0) | 2024.12.07 |
사모펀드의 기본 개념과 구조 완벽 가이드! (+차별점, 유형, 장단점) (0) | 2024.12.07 |
가격 탄력성이란? - 수요 탄력성, 공급 탄력성, 계산 방법 (0) | 2024.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