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증거금 의미, 관련 용어 알아보자

by 경제와 함께하는 경제 공부 2024. 1. 16.

증거금 뜻

증거금이란?
증거금이란?

주식 시장에서 증거금은 주식을 매수할 때 매매 대금의 일정 비율을 미리 예탁하는 것을 말합니다. 증거금은 주식 거래의 안정성을 높이고, 투자자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되었습니다.

증거금은 주식 종목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일반적으로 유동성이 높은 종목은 낮은 증거금률을 적용하고, 유동성이 낮은 종목은 높은 증거금률을 적용합니다. 또한, 투자자의 신용등급에 따라 증거금률이 차등 적용될 수 있습니다.

증거금은 매수 주문 시 미리 예탁해야 하며, 매수 주문이 체결되면 증거금이 증권사에 예탁됩니다. 이후 매도 주문을 통해 매수한 주식을 처분하면 증거금은 돌려받게 됩니다.

증거금은 주식 거래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증거금이 예탁되어 있으면, 투자자가 주식을 매수한 후 가격이 하락하여 손실을 입더라도, 증권사는 증거금을 활용하여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증거금은 투자자의 손실을 방지하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증거금이 부족하여 강제 청산이 되면, 투자자는 매수한 주식을 손해를 보면서 매도해야 합니다.


증거금 제도의 장단점

장점

  • 주식 거래의 안정성을 높임
  • 투자자의 손실을 방지함
  • 증권사의 위험 관리에 도움이 됨

단점

  • 투자자의 거래 비용이 증가함
  • 투자자의 거래 자유도가 감소함

증거금은 주식 거래에 있어 중요한 개념입니다. 주식 투자를 할 때에는 증거금 제도의 장단점을 이해하고, 이를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증거금과 관련된 주요 용어

  • 증거금률 : 매매 대금의 몇 %를 증거금으로 예탁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비율
  • 증거금 미수 : 매수 주문 시 예탁해야 할 증거금을 미리 예탁하지 못하는 경우
  • 증거금 부족 : 매수 주문 이후 가격 하락으로 인해 증거금이 부족한 경우
  • 강제 청산 : 증거금 부족으로 인해 투자자가 매수한 주식을 손해를 보면서 매도하는 것

증거금과 관련된 주요 규정

  • 증권거래법 제158조 : 증권회사는 증권거래소의 지시에 따라 증거금률을 정하여야 한다.
  • 증권거래소 규정 제165조 : 증권회사는 증거금 미수 또는 증거금 부족이 발생한 경우, 즉시 투자자에게 통지하여 증거금을 납부하도록 하여야 한다.
  • 증권거래소 규정 제166조 : 증권회사는 증거금 부족으로 인해 투자자가 매수한 주식을 강제 청산할 경우, 투자자에게 미리 통지하여야 한다.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국환포지션 의미, 장단점  (0) 2024.01.17
지급준비제도란?  (0) 2024.01.16
CLS 은행이란?  (0) 2024.01.14
G20 (Group of 20)이란?  (0) 2024.01.14
IC 카드 뜻, 원리, 종류  (0) 2024.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