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절상이란?
평가절상은 환율을 상승시키는 정책입니다. 즉, 자국 통화의 가치를 높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중앙은행이 시장에 자국 통화를 구매함으로써 이루어집니다. 이렇게 하면 자국 통화의 수요가 증가하고, 따라서 자국 통화의 가치가 상승합니다.
평가절상의 특징
평가절상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 자국 통화의 가치가 상승합니다.
- 수출이 감소하고 수입이 증가합니다.
- 물가가 하락합니다.
- 경제 성장이 둔화됩니다.
평가절상의 장점
평가절상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
- 수입 물가가 하락합니다.
- 물가가 안정화됩니다.
- 외채 부담이 줄어듭니다.
- 경제가 안정화됩니다.
평가절상의 단점
평가절상은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갖고 있습니다.
- 수출이 감소합니다.
- 일자리가 감소합니다.
- 기업의 수익이 감소합니다.
- 경제 성장이 둔화됩니다.
평가절하란?
평가절하란 한 나라의 화폐 가치를 다른 나라 화폐에 비해 의도적으로 낮추는 정책입니다. 정부는 중앙은행의 외환 시장 개입, 통화 정책 변경, 정부 발표 등을 통해 평가절하를 시행합니다.
평가절하의 특징:
- 정부의 주도: 평가절하는 정부의 정책적 의사 결정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 화폐 가치 하락: 평가절하 정책 시행 후 해당 국가의 화폐 가치는 다른 나라 화폐에 비해 낮아집니다.
- 수출 증가 및 수입 감소: 수출물가가 저렴해지고 수입물가가 비싸져 수출은 증가하고 수입은 감소합니다.
- 경제 성장 촉진: 수출 증가와 수입 감소는 경제 성장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인플레이션 심화: 수입물가 상승은 인플레이션을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 경쟁력 약화: 평가절하에 의존한 경쟁력 강화는 장기적으로 국내 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 외환 시장 불안: 평가절하 정책은 외환 시장의 불안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평가절하의 장점:
- 수출 증가: 수출물가가 저렴해져 해외 시장에서 경쟁력이 높아지고 수출이 증가합니다.
- 수입 감소: 수입물가가 비싸져 국내 소비자들이 해외 상품 대신 국내 상품을 소비하도록 유도하여 수입이 감소합니다.
- 경제 성장: 수출 증가와 수입 감소는 경제 성장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고용 증가: 수출 증가는 기업의 생산 증가와 고용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경기 침체 극복: 경기 침체 시 수출 증가를 통해 경제를 활성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평가절하의 단점:
- 인플레이션 심화: 수입물가 상승은 물가 상승을 심화시키고 국민들의 생활비 부담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경쟁력 약화: 평가절하에 의존하여 경쟁력을 높이는 것은 장기적으로 국내 산업의 기술 개발 및 생산성 향상을 저해하고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 외환 시장 불안: 평가절하 정책은 외환 시장의 불안을 야기하고 투자 위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무역 갈등 심화: 주요 교역 국가들과의 무역 갈등을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 국민들의 불신: 평가절하 정책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을 야기하고 경제 불안을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평가절하 시 고려해야 할 사항:
- 국가의 경제 상황: 경기 침체, 경기 과열, 인플레이션 수준 등 국가의 경제 상황을 고려해야 합니다.
- 산업 구조: 수출 중심 산업, 수입 중심 산업 등 국가의 산업 구조를 고려해야 합니다.
- 국제 경제 상황: 주요 교역 국가들의 경제 상황, 국제 무역 환경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 정치적 상황: 정부의 정책적 입장, 국민들의 반응 등 정치적 상황을 고려해야 합니다.
평가절하는 국가의 경제 상황에 따라 유용한 정책 도구가 될 수 있지만, 장점과 단점을 신중하게 검토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정책을 수립해야 합니다.
평가절상과 평가절하 비교
기준 | 평가절상 | 평가절하 |
정의 | 자국의 통화 가치를 다른 나라 통화에 비해 높이는 것 | 자국의 통화 가치를 다른 나라 통화에 비해 낮추는 것 |
환율 | 하락 | 상승 |
수출 | 불리 | 유리 |
수입 | 유리 | 불리 |
경쟁력 | 약화 | 강화 |
인플레이션 | 억제 | 심화 |
경제 성장 | 둔화 | 촉진 |
정부 정책 | 경기 침체 시 | 경기 과열 시 |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을기금 의미 특징 (0) | 2024.02.26 |
---|---|
제2차 통화조치란? (0) | 2024.02.26 |
환차손 환차익 의미 (0) | 2024.02.26 |
회사채 뜻 특징 투자방법 (0) | 2024.02.26 |
지니계수 의미 특징 (ft. 나라별 지니계수) (0) | 2024.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