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증거금? 강제 청산? 마진콜 이해하기

by 경제와 함께하는 경제 공부 2024. 11. 27.

마진콜이란?

마진콜의 의미

마진콜(margin call)은 레버리지 거래에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투자자가 증권사에게 자금을 빌려 고위험 거래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생깁니다. 특히, 투자자가 예상한 대로 자산의 가격이 상승하지 않고 하락하게 되면, 증권사에게 '증거금'이 설정된 기준 이하로 떨어진 경우 추가 증거금을 요구하게 됩니다.

증거금이란?

증거금은 브로커가 투자자를 위해 설정한 보증금으로, 투자자가 거래를 시작하기 위해 먼저 예치해야 하는 금액입니다. 예를 들어, 자산 가격의 10%를 증거금으로 요구할 수 있으며, 이때 가격이 하락하면 실제 손실이 발생하게 됩니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마진콜은 증거금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졌을 때 발생하는데, 이는 마치 월세를 못 내면 보증금을 받는 것과 유사한 원리입니다.

마진콜의 발생 조건

마진콜이 발생하는 구체적인 조건은 무엇일까요? 일반적으로 투자 상품의 가격 하락과 결부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만약 100만 원을 투자하여 10%의 증거금을 설정했다고 합시다. 자산의 가격이 10% 하락하여 90만 원이 되면, 투자자는 이미 손실을 보게 되고, 증거금이 부족하게 되어 추가 자금을 요구받게 됩니다.

  초기 투자 금액 증거금 비율 자산 가격 변동 후 손실
예시 1 1,000,000원 10% 900,000원 100,000원
예시 2 1,000,000원 10% 800,000원 200,000원

이러한 상황에서 추가 증거금을 채우지 못하면, 증권사는 계약을 강제로 종료하는 '청산'을 통해 손실을 줄이게 됩니다.

마진콜의 위험성과 영향

마진콜이 발생하는 가장 큰 이유는 레버리지의 위험성 때문입니다. 레버리지를 사용하면 작은 자본으로도 큰 금액을 투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격이 소폭 하락하더라도 손실이 급증할 수 있어 큰 부담이 됩니다.

예를 들어, 10%의 증거금으로 거래하는 경우 자산 가격이 10% 하락하게 되면 손실률이 100%에 도달합니다. 이는 마진콜이 생길 경우 추가적인 재정적 압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마진콜은 강제 청산 절차로 이어질 수 있어, 투자자가 원치 않는 상황에서 자동매매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투자자는 큰 손실을 입게 되고, 재정적 스트레스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마진콜은 투자 세계에서 고위험 거래를 의미하며, 그 위험 요소를 정확히 알고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진콜 상황을 피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전략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1. 증거금 여유 두기: 가능한 한 많은 여유 자금을 확보하여 증거금을 초과할 수 있도록 합니다.
  2. 손실 한도 설정: 손실이 특정 금액에 도달하기 전에 거래를 중지시켜 손실을 줄이는 것도 곧바로 대응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3. 시장 상황 모니터링: 시장 변동성을 예측하고 이에 맞추어 적시에 추가 증거금을 준비합니다.

오늘은 마진콜에 대해 알아봤습니다.!!